[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 무슨 뜻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96회 작성일 22-04-03 16:44

본문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경기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경제불황과 동시에 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시장상황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경제학적 관점에 따르면 실업률과 물가상승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경기가 활성화되면 기업의 이윤이 증가하고 이는 고용증가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로 이어져 가계실업률이 감소합니다. 그리고 늘어난 일자리로 인해 가계소득이 증가하여 시장에서 더 많은 재화를 구입할 수 있게 됩니다. 가계의 소비력이 높아지면 기업의 공급에 비해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여 자연스럽게 물가가 상승하는 시장흐름이 이어집니다. 이러한 시장경제의 원리를 보면 실업률과 물가상승은 서로 상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영국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증가가 동시에 일어났습니다. 이전까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시장 경제의 논리에 부합하지 않은 상황이 일어난 것입니다. 1965년 영국 보수당 소속의 정치인 이언 맥클레오드(Iain Macleod)는 하원 연설에서 영국은 인플레이션뿐 아니라 경기침체까지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말하며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영국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에서도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했을 때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